시사/경제

국민소득(실질 GNI) 1년9개월만 감소, 경제 성장률 0.8%

스눞히 2016. 9. 2. 10:14
반응형

<국민소득(실질 GNI) 1년9개월만 감소, 경제 성장률 0.8%>

 

한국은행이 2일 발표한 2016년2분기(4∼6월) 국내총생산(GDP)은 375조3천336억원(계절조정계열)으로 전 분기보다 0.8% 증가했다.
즉 경제성장률이 0.8%라는 이야기다.

민간소비와 설비투자 증가 덕에 올 1분기 0.5%보다 0.3%포인트(p) 상승했고 7월에 발표한 속보치 0.7%보다 0.1%포인트 높아졌다.

2분기 GDP 성장률은 작년 3분기 1.2%를 기록한 이후 3분기 만에 가장 높고, 1분기(0.5%)보다 0.3%포인트 상승했다.
전년동기대비 성장률은 3.3%로, 2014년 3분기 3.4%를 기록한 이래 7분기 만에 가장 높았다.
하지만 전년동기대비라는 말 답게 작년도 워낙 침체기였기에 큰 의미는 없는 수치라고 할 수 있다.

 

작년 4분기(0.7%)이래 3분기째 성장률이 0%대에 머물고 있다.

작년 3분기에 1.2%로 잠시 반등했던 것을 제외하면 2014년 2분기(0.6%)부터 8분기 동안 성장률이 0%대의 부진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경제활동 별로 보면 제조업은 1분기 마이너스 0.2%에서 2분기엔 1.2%로 돌아섰다.
제조업 성장률은 2014년 1분기 1.8% 이후 9분기 만에 가장 높다.

국제 유가의 변동이 영향을 미쳐서 석탄 및 석유제품과 화학제품 등이 늘었다.

건설업은 주거용 건물 건설을 중심으로 1.0% 증가했다.

1분기 4.8%보다는 성장세가 둔화했다.

서비스업은 운수 및 보관업, 부동산 및 임대업이 줄었지만 도소매·음식숙박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 등이 늘어 0.6% 성장했다.

 

 

부문별로 보면 민간소비는 개별소비세 인하 영향으로 승용차 등 내구재 판매가 늘면서 1.0% 늘었다.

1분기에 민간소비가 0.2% 감소하면서 '소비절벽' 우려가 나왔던 것과 비교하면 호전된 것이지만,

개별소비세 인하와 같은 정책효과에 상당 부분 힘입은 것이어서 하반기 소비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남아있다.

건설투자는 건물 건설이 늘면서 3.1% 증가했지만 1분기 6.8%보다는 성장세가 둔화했다.
특히 얼마전 가계부채 해결방안으로 주택 공급을 감소한다는 정부의 발표가 있었기에 앞으로는 부동산을 바탕으로한 숫자 놀음식 경제성장률도 기대하기 어려워졌다.

 

2016/08/25 - [시사/경제] - 가계부채 해결방안, 주택 공급 감소가 답이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와 기계류 투자가 모두 늘어 2.8% 증가했다.

수출은 반도체, 석유 및 화학제품 등이 늘어 1.1% 증가했고

수입은 원유, 자동차를 중심으로 2.1% 늘었다.

내수의 2분기 성장기여도는 1.2%포인트로 1분기 -0.2%포인트에서 플러스로 전환됐다.
순수출의 성장기여도는 -0.3%로 1분기 0.8%포인트에서 다시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GDP 디플레이터는 작년 동기대비 1.5% 상승했다.

즉 물가가 1.5% 상승했다는 이야기다.

 

GDP 디플레이터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누고 100을 곱한 값(GDP 디플레이터=(명목 GDP/실질 GDP)×100)이다.

명목 GDP는 당해연도의 총생산물을 당해연도의 가격(경상가격)으로 계산한 GDP이고,

실질 GDP는 당해연도의 총생산물을 기준연도의 가격(불변가격)으로 계산한 GDP를 말한다.
예를 들어 2015년이 기준연도(2015년 GDP 디플레이터 100.0)이고, 2016GDP 디플레이터가 112.5라면

2016년의 종합적 물가지수는 2015년에 비해 12.5% 올랐다는 의미이다.


소비가 늘면서 2분기 총저축률은 35.5%로 1분기(36.2%)보다 0.7%포인트 하락했다.

한편 2분기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국제유가의 반등과 기업들의 배당금 지급이 늘면서 전기보다 0.4% 감소했다.
실질 GNI가 전 분기보다 감소한 것은 2014년 3분기(-0.2%) 이후 7분기(1년9개월) 만에 처음이다.

 

실질 GNI

국민들이 느끼는 체감경기를 보다 잘 반영하기 위해 실질 국내총생산(GDP)에다 교역조건 변화를 반영한 값을 말한다.
즉, 한 나라가 일정기간 벌어들인 돈인 '실질 GDP'에서 환율이나 수출입 단가가 바뀌면서 생긴 무역손실이나 이익 즉, 교역조건 변화에 따른 실질무역손익을 더해 산출한 금액(실질 GDI)에 다시 실질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을 더한 것이 '실질 GNI'이다.

 

총 저축률이 하락하면서 소비가 늘고, 실질 GNI가 감소한다는건 말 그대로 나라 경제가 정체를 넘어서 후퇴하고 있다는걸 의미한다.

단기적인 대출 규제나, 소비세 감면으로는 더이상 0% 성장률에서 벗어날 수 없다.

내년도 예산안 역시 복지, 일자리를 늘리고 SOC와 연구분야의 투자를 줄인다고 하는데.

장기적인 관점으로 봤을 때 과연 그런 일시적인 방편이 최선인지 불안함을 감출 수 없다.

 

정부 정책부터 시작해서 총체적인 경제성장 아웃라인을 다시 그려야 한다.

 

 

2016/08/30 - [시사/경제] - 2017년도 예산안 400조, 복지, 일자리 늘리고 SOC 감액

 

2016/08/31 - [시사/IT] - 구글보다 빨랐으나 예산 끊긴 태양광 드론, 예산 400조는 어디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