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IT

구글보다 빨랐으나 예산 끊긴 태양광 드론, 예산 400조는 어디로

스눞히 2016. 8. 31. 19:36
반응형
<구글보다 빨랐으나 예산 끊긴 태양광 드론, 예산 400조는 어디로>

 

 

구글·페이스북을 제치고 세계 세 번째로 성층권 비행 성공의 쾌거를 달성한 토종 태양광발전 무인기(드론)가 후속 개발 예산이 잡혀 있지 않아 자칫 대(代)가 끊길 처지에 놓였다. 

 

국산 태양광 드론 (개발 현황)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자체 개발한 고고도 태양광발전 드론은 지난 12일 우리 기술의 태양광 드론이 성층권 비관제공역을 비행하는 데 성공한 성과를 냈다.
지상 10~50km는 성층권으로 이 중 18km 이상은 항로에 제약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비행할 수 있어 군사와 상업적으로 의미가 큰구역이다.
영하 70도까지 떨어지는 등 온도와 공기밀도가 낮아 엄청난 에너지가 필요해 이곳을 비행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기술이 요구된다.
이번 비행에 성공한 태양광 드론은 18.5km에서 90분간을 날아다녔는데, 이는 세계에서 세 번째 쾌거를 이룬 겁니다.
러시아는 물론 성층권에 드론을 띄워 무선 인터넷망을 구축하려던 글로벌 기업 구글, 페이스북도 아직 성공하지 못한 기술이다.

미래창조과학부가 지난 2010년부터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개발비 등을 지원해주던 고고도 태양광 무인기 개발 프로젝트가 이미 지난해 말을 기준으로 종료됐다.

 

정부 관계자는 “항우연이 연구할 수 있도록 정부가 인건비·경상비 등을 지원해줬는데 현재 추가 후속 지원 계획이 없다”며 “미래부에서 드론 관련 지원 사업은 ‘무인이동체 발전 중기계획’으로 추진될 예정인데 고고도 태양광 드론 사업은 포함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이번 사업이 최소 2~3년은 공백을 맞거나 아예 차기 정부로 넘어가면서 명맥 자체가 사라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당국이 별도로 후속 사업을 만들어주려고 해도 ‘예비타당성 사업’으로 추진해야 하는데 사업 제안에서부터 시작까지는 최소 2년 이상이 걸린다.

 

대체 창조경제라는건 무얼 의미하는건가?

전세계 무인기 시장규모는 2015년 현재 79억 달러에서, 2023년 150억 달러까지 대폭 성장할 전망이다.

게다가 우리는 이 분야에서 핵심적인 기술력을 갖고 있는 상황인데, 이런 핵심분야에 대한 지원을 하지 않고도 대체 어떤 '창조'를 이야기하는건지 납득이가지 않는다.

 

 

 

 

 

지원이 끊길 위기에 닥친 우리와는 달리 글로벌 경쟁기관과 기업들은 앞으로 2~3년 내 집중투자를 통해 시장 선점에 나설 계획이다.

 

영국 국방부만 해도 자국산 고고도 태양광 드론인 ‘제퍼’ 시리즈 구매를 위해 1,060만파운드(155억원) 투자에 착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은 9,000만달러(1,004억원)를 지원해 보잉의 태양광 드론인 ‘솔라 이글’ 개발을 도왔다.

미국 등에서는 이미 1970년대부터 태양광 드론 개발이 시작돼 40여년간 민관이 수조원대의 투자를 한 것으로 전해지지만 우리 정부가 고고도 태양광 드론 개발을 본격화한 것은 2010년부터로 정부 지원액은 60억~80억원에 불과하다.

 

항공조사 전문사인 틸그룹에 따르면 2015년 고고도 장기체공 드론 시장 규모가 15억달러에 달하는 등 급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우리 태양광 드론은 선진국 수준에 올라섰지만 수개월~수년 장기 체공하며 저궤도위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하려면 고용량 배터리와 경량화 소재 기술이 뒷받침돼야 한다”며 “지난 10여년 전부터 정부가 리튬황 전지 개발 과제를 내놓았다가 단기간에 성과가 없다고 대부분 종료했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미래부·산업통상자원부·국토교통부 등이 드론산업을 진흥한다고 하지만 기초·원천기술 확보보다 주로 해외 부품, 프로그램을 사다가 빨리 조립해 상용화하는 수준”이라며 “부가가치는 배터리·경량소재·솔루션 등에서 나오는데 각 부처가 무게를 두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복지, 일자리를 늘리고 SOC와 과학투자 분야를 줄인다고 하던데.

진정한 '창조'경제라면 미래전망이 확실한 과학분야와 신 산업에 대한 투자가 이뤄져야 지속적인 복지와 일자리가 지속 가능한 경제체제를 이룰 수 있지 않을까 싶다.  

 

 

2016/08/30 - [시사/경제] - 2017년도 예산안 400조, 복지, 일자리 늘리고 SOC 감액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