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국정과제 이행을 위한 초등 1~2학년군 교과용도서 개선 방안

스눞히 2016. 9. 4. 00:53
반응형

2009 개정 교육과정 개정 이후 새 교육과정의 적용을 위하여 개발된 교과서가 연차적으로 학교 현장에 보급, 활용되고 있는데 이 가운데 국정으로 개발되고 있는 초등학교 1~2학년군의 국어, 수학, 통합 교과에 대하여 학습 효과성이나 교과서의 활용 적합성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추후 정책 개선 및 현장 중심 정책 실현의 기초 자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초등학교 1~2학년군 교과용도서의 활용 효과 및 대국민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수요자 의견 조사 및 분석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교육현장의 의견이 수렴, 반영되어 추후 지속되는 국정 과제의 이행이나 정책 마련에 실질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한 연구 내용인 초등학교 1~2학년군의 교과용도서에 대한 수요자 의견에 대한 조사를 위해 전국 초등학교에서 유층표집된 450개교의 1, 2학년 담임교사, 2학년 학생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교과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과서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와 내용 구성 및 외형체제를 포함하는 요소별 만족도가 조사되었고, 덧붙여 교과서 정책에 시사점을 얻고자 교과서 구분과 교사용 지도서에 대하여 조사를 추가하였다. 조사는 국어, 국어활동, 수학, 수학익힘책, 통합교과의 5종 교과서를 대상으로 분류하여 실시, 분석 되었다.
 
  조사 결과 전반적인 만족도 측면에서 5종 교과서 모두 비교적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학생의 전반적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다만 대상별로 교과서별 만족도 순위가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교사는 국어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학생과 학부모는 통합 교과 교과서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교사는 국어활동에 대한 만족도를 가장 낮게 응답하였으나 학생은 수학을, 학부모는 수학과 수학익힘책을 가장 낮게 응답하였다.
  교과서의 내용에 대한 종합적 만족도 역시 5종 교과서 모두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통합 교과, 국어와 국어활동, 수학과 수학익힘책 순으로 만족도의 평균 점수가 산출되었다. 외형체제에 대한 종합적 만족도도 비교적 높았고, 대체적으로 내용 구성 측면보다는 만족의 수준이 조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교과서에 대한 요소별 만족도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국어 교과서의 경우, 내용 구성의 만족도는 대체로 높았으며 2007 개정 교육과정기의 교과서에 비교한 상대적 만족도 역시 비교적 높았다. 내용 구성의 세부 요소 중에 ‘학습 자료 및 활동의 유용성’에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혼자 공부할 때의 이해 정도(자기주도적 학습)’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또한 국어 교과서보다는 국어활동 교과서의 내용 구성에 대해 다소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외형체제의 만족도는 매우 높은 편이며 역시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에 비교한 상대적 만족도도 높았다. 외형체제의 세부 항목 중에서 지질, 색도, 서체, 편집 및 디자인에는 높은 만족을 보였으나, 판형, 분량 및 쪽수에 대하여는 대체로 낮은 만족도 응답을 나타냈다. 만족도가 낮은 측면에 대해 두껍고 무거운 점, 판형이 크거나 편철 방향이 불편한 점 등이 제기되었다. 변화된 교과서의 구분 방식에 대하여 대체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부 개선의 의견의 반영이 요구되었다. 교사용 지도서에 대해서는 교과서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도 점수를 보였으며 특히 외형체제의 면에서 크고 무거우며 휴대하기 불편한 점으로 개선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수학 교과서의 경우, 내용 구성의 만족도는 대체로 높았으며 2007 개정 교육과정기의 교과서에 비교한 상대적 만족도 역시 비교적 높았다. 그러나 1, 2학년 교사들 사이에 내용 구성에 대한 만족도가 하위 대부분의 영역에서 차이를 보임에 따라 이에 대한 원인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인데 특히 교과서 내용의 바탕이 되는 교육과정 내용의 난이도, 학습 분량 등의 연계성 문제를 검토할 필요가 제기되었다. 또한 ‘혼자 공부할 때의 이해 정도(자기주도적 학습)’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여 자학자습의 기능이나 교과서 완결 학습 체제 정책을 위한 보완이 요구되었다. 외형체제의 만족도는 매우 높은 편이며 내용 구성보다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역시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에 비교한 상대적 만족도도 높았으나, 외형체제의 세부 항목 중 분량 및 쪽수에 대하여 가장 낮은 만족도 응답을 나타나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사용 지도서의 경우도 대체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외형체제의 편의성’이나 ‘평가 자료의 적절성 및 유용성’ 측면에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에 주목하여 개선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제기되었다.
  통합 교과 교과서의 경우, 내용 구성의 만족도는 대체로 높았으며 2007 개정 교육과정기의 교과서에 비교한 상대적 만족도 역시 비교적 높았다. 내용 구성의 세부 요소 중에 교사는 ‘학습 자료 및 활동의 다양성과 풍부한 정도’에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학생과 학부모는 ‘흥미 유발’에 대하여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외형체제의 만족도는 매우 높은 편이며 내용 구성보다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역시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에 비교한 상대적 만족도도 높았으며, 외형체제의 세부 항목 중에서 색도에 가장 높은 만족을 보였으며, 분량 및 쪽수에 대하여 가장 낮은 만족도 응답을 나타냈다. 통합 교과의 구분 변화 방식에 대해서도 대체로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으나 개선의 필요성 역시 많은 요구가 있으며, 특히 여러 권으로 나뉜 때문에 사용상의 불편함과 학사 일정이나 평가 결과 입력 등 교육과정의 운영과 불일치한 측면으로 겪는 어려움이 제시되었다.
 
  연구에서 분석,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의 교과용도서 개선을 위한 정책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학습 효과의 증진, 수요자의 요구, 관련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최적의 외형체제에 대한 기본 사항들을 설정하고 이를 정책에 반영한다.
  둘째, 교과서 활용에 대한 실증적 자료를 근거로 교과서 효용성 및 교육 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합리적 구분 방안을 마련하도록 한다.
  셋째, 교과서 수요자 조사 결과를 교육과정 개선에 피드백하여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유기적인 연계를 모색한다.

 

반응형